-
1) 흥미로운 디파이 소개 - 카바 (Kava) 네트워크NFT. P2E. DEFI. CEFI 2022. 7. 25. 22:05
신박한 스테이블 파밍 디파이 하나 소개
바로 카바 네트워크 이다.
이 L1 디파이는 코스모스 기반의 렌딩 프로토콜인데 자체 스테이블 코인인 USDX를 민팅하고 이같은 파밍을 통해 KAVA 토큰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멀티체인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답게 BTC, BNB, BUSD와 같은 메인넷도 지원한다.
코스모스와 이더리움의 멀티체인을 결합해서 운용중인데, 원래는 개발자 친화적인 툴(SDK) 로써 멀티체인을 싱글네트워크로 운용하게끔 해서, 각자 기호의 맞는 개발 환경 제공 및 인센티브시스템을 구축했다.
쉽게 말해 미친 확장성을 지녔다.
또한 운용된지 오래되었다. 심지어 업비트에도 거버넌스코인 (CAVA)가 상장되어 있을 정도
디파이리마 순위에선 TVL $ 1억 6100만 , DAPP 순위 65위이다.
토르체인(69위), 클레이스왑 (56위) , 트레이더조 (55위) 정도랑 비교해보면 준수하다.
각종 오딧(써틱)이나 백커, 파트너쉽도 탄탄하고 신뢰도는 괜찮은 수준.
기본 프로토콜 의의는 그러하고, 왜 이 디파이가 왜 쓸만한가?
바로 BUSD 파밍이다. 우선 하나의 디파이에서 렌딩, 거버넌스코인 민팅, 스왑이 다 되는것도 훌륭한데, 스테이블 파밍에서 독보적인 APY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 25.47%의 BUSD라는 튼튼한 스테이블 코인 파밍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왠만한 디파이에서 요새 보기 힘든 이율이다. 일드-어그리게이터 인 연파이낸스나 인스타댑 같은것과 비슷하게 무대 뒤에서 복잡하게 자금이 운용되지만 그 부분은 유저가 고민할 필요 없이 그저 예치 - 파밍만 하면 된다.
그런데 그게 어떻게 가능할까?
우선 원리를 살펴봐야 한다.
카바 네트워크의 스테이블 코인은 USDX 이다.
현재 0.98 정도의 페깅을 보여주고 있으며 작년 5월경 중국발 규제의 대하락과 루나발 디파이의 난 속에서도 비교적 준수하게 스트레스테스트를 받았다.
또한 이 코인은 알고리즘 기반이 아닌 담보 기반으로 작동한다. 5월경 루나가 폭락할때 담보물로 있던 UST가 폭락하면서 벌어진 일이라, 디페깅된 부분은 크게 고민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BUSD EARN의 구조는 심플하다.
단순하게 BUSD를 예치 → USDX 민팅 → KAVA LEND 에 예치 후 일드 파밍 방식이다.
BUSD를 예치하면 상기의 코인을 이자로 얻는 것.
상기 이미지와 다르게 현재는 APY 25% 수준으로 조정되었다.
이미지중 $ 는 카바의 USDX , K 는 KAVA , H는 KAVE LEND의 HARD 이다. 리워드가 해당 토큰들로 수령된다는 소리.
KAVA네트워크의 BUSD EARN 방식은 즉 BUSD를 담보로 USDX를 대출받아 각각에 풀에 파밍하는 것의 번거로움을 덜어 주는 것이다. 그저 BUSD를 EARN에 예치하면 끝이다. 또한 스테이블 치고 이자가 높은 이유는 USDX는 생태계 메인 스테이블토큰으로써 인센티브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리스크
하지만 리스크가 있다. 해당과 같이 12개월짜리 리워드 Vesting 락이 걸린다. (busd는 언제든 출금 가능하지만..)
보시다시피 1 Month 락과 12 Month 락 의 이율 차이는 5배 차이이다.
그렇지만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안전한 busd를 예치하는 것이고, busd와 usdx를 스왑하는 것이 아닌 busd와 페어된 usdx를 따로 나눠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방지코자 1년짜리 리워드 베스팅 락을 거는 것이고, 덕분에 견고하게 쌓인 tvl로 유저들에게 넉넉한 인센티브를 줄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커브나 여타 메이저 디파이에서 볼 수 있듯 스테이블 코인 이자율들은 보통 1% 미만인 경우가 대다수인데 상대적으로 안전한 상황에서 안전한 스테이블 파밍으로 1년 베스팅 락업시 25% apy는 굉장히 구미가 당긴다.
1달만 예치시에도 5%의 준수한 APY를 득할 수 있으니 괜찮은 선택.
토크노믹스
- 체인 : Ethereum Co-Chain or the Cosmos Co-Chain. kava network , bep2
멀티체인 지원, 트러스트월렛과 같은 지갑사용하여 연결 및 KAVA토큰을 스왑하여 사용
간편한 방법은 TRUST WALLET에서 BEB2체인을 사용하여 BUSD를 KAVA에 예치하여 스왑하여 사용
네트워크 fee로써 KAVA 소량 홀딩 필요
- 토큰구조
KAVA - 거버넌스 토큰
마켓캡 : $408,986,576
프로토콜내 수수료로 쓰임
카바 토큰 스테이커는 블록보상으로 KAVA 토큰 수령
시스템의 각종 의사결정에 대한 KAVA DAO 투표 진행
USDX - 생태계 내 스테이블 토큰
마켓캡 : $109,825,530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스테이블 파밍이 가능함.
카바 민트 내에 담보물 잡은 후 USDX 민팅하는 방식 (MAKER DAO와 같음, 담보가치에 항상 유념)
- 시세 (그래프)
KAVA - $1.75
USDX - $0.9749
- 특이점
메인넷 출시했음
이더리움과 BSC , COSMOS를 복합적으로 연결하는 거대한 멀티체인 구축 희망
COSMOS 생태계 내 독보적 지위의 디파이
개발자 친화적 생태계 - 각종 디앱 및 에코시스템 장기적으로 활발히 나올 전망
기본 풀 이자율
주요 lp로는 busd/usdx 4.64% , btc/usdx 1.27% , bnb/usdx 0.94% 등이 있다. 전반적으로 다른 디파이들과 크게 차이는 없는 모습.
하지만 12개월 리워드 vesting 락업 조건하에 BUSD/USDX의 경우 최대 49.95%의 추가 이자를 가져갈 수 있으니 도전해보는것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마무리
디파이가 아주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평소라면 엄청 막 구미가 당기는 프로토콜은 아니지만 무려 스테이블 파밍 이자가 최대 25% (단일 BUSD 예치시, LP로 예치하면 50%까지 늘어남) 이기 때문에 그리고 그 구조가 락업 구조로 되어있어서 소개해본 프로토콜.
카바 네트워크 : https://app.kava.io/
카바 네트워크 텔레그램 : https://t.me/kavalabs
'NFT. P2E. DEFI. CEFI'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흥미로운 디파이 소개 - 커브,컨벡스,아베 등과 렌딩프로토콜 , ve 개념 (0) 2022.07.30 2) 흥미로운 디파이 소개 - 우즈, 퓨리오, 밴디트 , 헥스 등 ROI Dapp (0) 2022.07.28 블루칩 NFT 프로젝트 별 분위기 (0) 2022.07.24 레딧의 새로운 PFP-NFT , community의 nft는 앞으로 얼마나 파괴력 있을까? (0) 2022.07.13 Gamefi 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 Binaryx (2) (0) 2022.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