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E
-
P2E , 블록체인 게임 관점NFT. P2E. DEFI. CEFI 2022. 7. 1. 15:03
https://twitter.com/_sam_jung/status/1541288383204724737?s=20&t=WkWqAwswhToMcd3icvcsKQ 트위터에서 즐기는 Sam Jung | a41 “[a41 리서치 큐레이션 | 6/24] • @MessariCrypto | 크립토 게임의 미래 | 낙관적 관점과 비관적 관점의 비교 (링크: https://t.co/8g3lExuoD6)” twitter.com 트윗 읽고 소감적기 크립토 게임에서 경제 구조를 유지하기 어려운 이유는 토큰을 쉽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CEX, DEX를 통해 게임 내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현금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통 게임에서는 게임 머니를 현금화하는 것이 비교적 어렵기 때..
-
Gamefi 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 Binaryx (1)NFT. P2E. DEFI. CEFI 2022. 6. 30. 19:52
코인은 그 자체로는 서스테이너블 하지 못한 폰지 스키마로 이뤄져 있다. 각종 유틸리티성을 부여해서 블록안의 스페이스를 판매하는 레이어 1 코인들만이 겨우겨우 지속가능성에 다가가고 있는 중이다. 그외에 토큰들은 아직도 당위성을 인정받지 못한채 본인들의 가치를 스스로 증명해 내야 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2020년을 필두로 코인과 이들의 지속가능한 사업모델들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하나는 Defi요 하나는 Nft 이다. 디파이는 처음으로 코인을 가지고 무언갈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유저에게 제시했고 nft는 그자체의 수익성이 없더라도 예술성 혹은 밈으로써 거래되는 온전히 가치가 새롭게 창출된 예 였다. 이러한 nft를 가지고 리워드를 가져갈 수 있을 수 는 없을까? 이러한 nft에 유틸성을 부여하고자 나온 시도가..
-
갈라 게임즈 갈라 근황NFT. P2E. DEFI. CEFI 2022. 6. 29. 18:42
작년 P2E에서 메이저로 불리우며 한창 핫햇던 갈라게임즈의 '타운스타' 의 처참한 근황이다. 디스코드방 유저들의 목소리를 빌어 글을 써본다. 유저 曰 : P2E방식이 잘못됬어요 타운은 위믹스는 rpg시스템을 통한 채굴, 과금은 현금으로..엑시는 과금을 nft로하지만 서로간에 합성시스템을 통해 더 좋은 캐릭을 만들수있는거 -> 이부분도 유명무실해졌지만 타운은 뭔가 장점이 없어요 ㅠㅠ nft를 사면 돈을 더벌수있는거 그거하나... -> 채굴만 '무한정' 가능하다. 폰지위에 폰지를 쌓아버림 뭔가 nft로 할수있는게없고 그냥 배치만시켜놓는거 마치 처음에 게임힘들게할래 돈주고 쉽게할래 이런느낌?? -> 쉽게하고 이후는? 배치때만 돈을 버는 BM은 지속가능하지 못하다. Nft를 사면 이득이있다 이런게 전혀 소비자입..
-
내가 생각하는 NFT의 현재크립토 성찰 2022. 6. 29. 15:45
NFT 이하 '느프트' , '늪' 동일 느프트는 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과 같다. 내가 좋아해온 혹은 유망해 보이는 프로젝트를 미리 투자한다고 보면된다. 또한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메커니즘이다. IDO로 투자시장에서 신규 프로젝트가 자금을 끌어 모을 수단으로 NFT를 판매해 자금조달을 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어찌보면 상장전 주식을 미리 프리미엄을 주고 사는 것. 보증 내세울 것이 아무것도 없으니 초기 코인 프로젝트들은 VC들과 각종 인플루언스 콜라보, 유명 CEO 및 개발자들을 등에 업고서 불길속으로 뛰어든다. 저들을 매개로 자기들의 로드맵이 어쩐지 뭐가 저쩐지 엄청 현란하게 유저들에게 어필한다. 대다수 유저들도 알고있다. 이들의 말중 90%는 구현하기 어렵거나 혹은 거짓이라는 것을. VC들은 10%의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