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
-
3) 흥미로운 디파이 소개 - 커브,컨벡스,아베 등과 렌딩프로토콜 , ve 개념NFT. P2E. DEFI. CEFI 2022. 7. 30. 20:39
디파이가 진화하고 유동성 확보를 위해 랜딩플랫폼들이 등장했다. Tredfi(전통금융)에서 알 수 있듯, 랜딩 개념이 나오면 자본 효율성이 증가하고 레버리지 효과로 시장 전체 성장이 극대화될 수 있다. 그럼 크립토씬에서 렌딩프로토콜들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을까? 간단하게 정리해 보자면 📌 랜딩프로토콜 활용 예시 ✅ 상승 관점 레버리지 투자 - 담보대출을 통해 해당 자금으로 특정 자산 매입.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담보로 맡긴 자산 + 투자한 자산의 성장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 하락 관점 레버리지 투자 - 담보대출을 통해 해당 자금으로 특정 자산 매입 후 바로 매도. 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매도한 가치를 통해 다시 현물 매입 후 상환. ✅ 과담보 대출을 통해서 전통 금융에서와 같이 다양한 목적으로..
-
디파이의 수익률은 어디에서 올까?NFT. P2E. DEFI. CEFI 2022. 7. 5. 19:30
출처 - https://twitter.com/tokenterminal/status/1543180630997057538?s=20&t=9HdGxivlsmFfwe1_fDEEAA DeFi 수익률은 어디서 오는걸까? • 거래 수수료 • 유저 대출과 이자 • 옵션: 프리미엄 (?) • 파생상품 거래: 블록 보상(tx 수수료) • 모든 프로토콜: 거버넌스 토큰 인센티브 (를 탐하는 유저들의 토큰 수요) • 수익률 집계: 위의 모든 항목 즉 DeFi 수익률은 a) 이러한 플랫폼의 수요측 사용자가 지불한 수수료 b) 토큰 인플레이션 에서 비롯됨 위험(및 보상)을 교환하는 당사자로부터 수익 발생 • 유동성 제공자(영구적 손실) 거래자(거래 수수료) • 빌려주는 사람 차용자 • 옵션 판매자(만기 손실 나는 경우) 옵션 구매..